예시 하계망의 활용 예시 2개 » 이 지역의 하계망은 불균등하게 분포하고 있다. 원학희, 러시아의 지리, 아카넷, 2002년 » 이에 반하여 습곡 산지가 준평원화되고 그곳에 퇴적층이 두껍게 형성되면, 그 하계망은 아래에 형성되어 있는 습곡 산지의 지층 구조에 영향받지 않고 발달하게 된다 하천유역과 하계망 하천유역: 빗물이 하천으로 모여드는 범위 하계망: 본류와 지류가 합쳐저 이루는 수계 . 상류 -> 하류(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유량이 많아진다-고도는 완만해진다-원마도 1 가 커진다-퇴적물의 입자크기는 작아진 4. 유수에 의한 지형 . 4.4. 하계망의 분석 . 하나의 유역분지에서 본류와 수많은 지류가 함께 구성하는 하천의 망을 하계망 (河系網, drainage network) 이라고 한다. 하계망은 유역분지의 지질 ‧ 기후 ‧ 식생 등의 영향을 반영한다. 최상류의 작은 하천은 곡두 (谷頭) 에서 끝나며, 골짜기의 양쪽 사면은.
분수계와 하계망. 2008. 9. 30. 8:31. 분수계 : 물은 나누는 경계, 하천의 경계를 이루는 선으로 산의 정상을 따라 연결되는 경계선에 해당한다. 우리집 두 딸과 지리수업과 관련된 블로그입니다 하계망 패턴의 자세한 의미 하계망 패턴 河系網pattern 어휘 혼종어 지구: 개별 하천이 모여서 형성된 공간 구조의 한 유형. 다른 언어 표현 영어 drainage pattern 더 자세히 알아보 제주도 하천의 하계망 분석 . 73 0 0 0 데이터셋명. 하천망도. 데이터유형. 공간. 데이터설명. 1/25,000 국가 기본도를 기도로 사용하여 국가하천 및 지방하천의 구간변경, 명칭변경 등 작성된 지도. 갱신주기. 필요시. 최종갱신시기
중국의 하계망은 크게 내륙하천유역분지와 외류하천유역분지로 나누어지며, 내륙하천유역분지는 ①亂脈狀 하계망(deranged pattrern)과 ②구심상 하계망으로, 외류하천유역분지는 ①수지상 하계망, ②평행상 하계망, ③선상 하계망, ④망상 하계망으로 나누어진다 지형발달사. 개요. 구조지형: 퇴적암층의구조를반영하는지형과단층 • 화산활동에의해형성되는지형 습곡산맥의지형과하계망 습곡산지주변의완경사지형: 메사 • 뷰트 • 침
네..공개로 전환할께요^^. 안녕하세요 아시아지리를 공⋯. 관심분야가 저랑 똑같네요.⋯. 이 책은 인문지리의 기라성⋯. 안녕하세요? 지리교사입니다.⋯. 한국어 일본어가 각각 독자적⋯. 극지대에 있어 라마단을 도저⋯. 핀란드 교육도 옛날같지 않다⋯ 제 10장 고차적 공간 분석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이훈열 교수 참고문헌: 이희연, GIS 지리정보학, 2004. 공간 분석 기법의 예 근접 분석: 검색 기능, 확산 기능 지형 분석: 경사, 음영 기복, 시계 분석 하계망 분석: 수로, 유역 경계 분석 네트워크 분석: 경로 탐색,자원 배분, 공간적 상호작용 모델, 입지. 강경천 (江景川)은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에서 발원하여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 망성면 을 거쳐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 에서 논산천 으로 흘러드는 금강 의 제2지류이다. 금강 수계에 속하며 국가하천, 지방하천으로 나뉘어 있다. 강경천 명칭. 한양도. 아카이브번호. 67466. 유물번호. 서8228. 자료출처 『서울지도』(2006), 23쪽 내용. 북한산과 남산 사이의 도성 모습을 묘사한 . 한양도漢陽圖>이다.. 지도 상단에는 '한양도漢陽圖'라는 제명이 붉은색으로 쓰여 있으며, 도성 안의 궁궐, 도로망, 하계망河系網, 교량, 주요 부部, 방坊, 동洞의.
주요 지류는 송곡천, 백사천, 마리동천, 광암천, 옥련천 등이 있다. 명칭 유래. 수성천의 하류에 있는 수성의 이름을 따서 수성천이라 하였다. 자연환경. 수성천의 길이는 약 72㎞, 유역 면적은 932㎢, 유역 평균너비는 12.9㎞이다. 지류가 적고 이 지류는 모두 동서. 실습 11. 하계망 분석 [1] 하계망 추출 ¡ Hydrov11.avx 이용한 래스터 하계망 추출 1. C:\ESRI\AV_GIS30\ARCVIEW\Samples\EXT\hydrov11.avx 파일을 EXT32 밑에 복사, extensions 체크. 2. 실습 10의 [1]을 반복한다. (혹은 seoul_grd 를 복사하여 New View에 놓는다). 3. seoul_grd 활성화 → Hydro→Flow directio GIS 실습 : 아크뷰를 활용한 지도 제작과 공간분석 GIS실습아크뷰를활용한지도제작과공. 목차 개정판을 내면서 = 4 제1부 지도 제작 제1장 Arcview 기본 사용법 = 15 시작하기 = 15 View 창에서 사용법 = 17 제2장 Layer 추출 = 27 dxf data = 27 dxf 포맷에서의 Layer 추출 = 28 제3장 Layer 오류 수정 = 38 추출한 Layer의 Shape. 규칙기반 모델링은 다양한 지도요소들을 대상으로 일반화를 적용할 수 있고, 디지털 환경하에서 다축척 지도제작에 효과적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하계망 규칙기반 모델링은 일반화 규칙, 중심선 추출 그리고 선형사상 일반화 알고리즘으로 구성된다
상호명 : (주)케이지에듀원 대표자 : 이상준 개인정보 관리 책임자 : 설동욱 sdw9400@kggroup.co.kr 사업자등록번호 : 119-81-39002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 제 03-570-232호 쌤플러스 원격평생교육시설 서울특별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2층 Tel : 1544-0678 Fax : 02-814-760 • 이민부·이광률·김남신, 2004, 추가령 열곡의 철원-평강 용암대지 형성에 따른 하계망 혼란과 재편성, 대한지리학회지, 제39권 6호. • 이민부·이광률·김남신, 2005, 추가령 열곡 영펼천 하류 단구지형의 형성과정, 대한지리학회지, 제40권 6호 산사태 피해조사 및 복구방안 사례. 2001년 7월 23일~24일 홍천군 두촌면 자은리 및 괘석리에 집중호우가 내려 127개소 26ha에 달하는 산사태가 계곡 4.8km, 사방댐 1개소에 걸쳐 발생하였으며, 이로인해 5채의 가옥이 파손되고 5명의 인명피해 가 발생하였다. 피해. 연안역 통합관리에서의 GIS 활용 방안 -오염부하량 산출을 중심으로-. The practical use of GIS in calculation of pollutant loads for a coastal management. 발행기관: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간행물: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patial aggregation. 큰 래스터 레이어를 작은 레이어로 조합하는 과정. 지도 제작의 일반화 과정. 위치에 따라 정할 수도 있고, 평균값 방법, 중심값 방법, 중앙값 방법을 쓸 수 있음. 축소하면 공간해상도는 감소. 하지만 영상을 확대하면 축척과 해상도는 변하지. 8,000Km2 지역에 걸친 레이더 강우와 Vflo™ 모델 결과의 유거수를 동시에 다음 사이트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분포형 강우 및 분포형 유출(열대성 폭우의 잔해) 분포형 수리 모델인 Vflo™ 사용하여 분석한 유역의 어느 위치든지 예측 유량과 깊이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실시간 운영을 위한 모델 보정을.
이 강의에서는 수문학적 분석을 수행하겠습니다. DEM으로부터 시작, 하계망(河系網, channel network)을 추출하고 유역을 묘사한 다음 몇 가지 통계를 계산할 것입니다. 먼저 이 강의에 해당하는 프로젝트를 불러오십시오 하계망패턴의 특색으로 구분한 중국의 자연지역 (xsd:string) nlon:titleOfAdditionalPhysicalForm: 하계망패턴의 특색으로 구분한 중국의 자연지역 (xsd:string) nlon:titleOfHostIte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xsd:string) 한국지역지리학회지 (xsd. 남한강 유역 하계망발달의 정량적 분석: 최운식(1971) 서울시의 소비자 유동성향에 관한 연구: 이문종(1971) 한가의 홍수와 그에 대한 적용유형에 관한 연구: 김부식(1971) 중등지리교육과정의 비교연구: 윤성하(1972) 우리나라 석탄산업의 사양화와 탄광취락의 변천. 천안시 하계망 내 하천 연변의 크고 작은 범람원 충적지 논과 완사면 사이의 배산임수성 골짜기에는 골짜기의 규모가 큰 경우에는 면 중심지 취락이 입지해 있고, 규모가 작은 경우에는 자연 마을들이 입지해 있다. [행정 구역 여행을 떠나기 전 누구나 하는 일이 있다. 바로 지도를 보는 일이다. 지도를 열심히 볼수록 머릿속 내비게이션은 여행을 이롭게 한다. 사실 우리는 지도만 잘 봐도 그 지역의 특성을 짐작할 수 있다. 2차원 평면을 3차원으로 바꾸는 공간 구성력은 지도를 열심히 읽는 데서 비롯된다., scsc201903000
서귀포시 하천 유역은 층리와 절리, 동굴이 잘 발달한 현무암질 용암으로 구성되어 있어 유수가 지하로 쉽게 침투할 수 있다. 따라서 강수량에 비해 하계망 발달이 미약하며 유수의 침식·운반·퇴적 작용의 산물인 하천 지형이 뚜렷하지 않다 [정의] 세종특별자치시 지역에서 지표수가 모여 일정한 유로를 가지는 유수의 계통. [개설] 지표면에 내린 비[雨] 또는 눈[雪]은 분수계(分水界)[인접하여 있는 하천 유역을 나누는 경계]를 따라 집수되고, 집수된 물은 지표면의 유로를 따라 흐르게 된다
산지에는 하계망(河系網) 이 발달하였으나 평야에는 하천의 발달이 미진하다. 대부분의 하천은 쿠라 저지로 유입되나 대하천인 쿠라강은 국토를 종단하여 카스피해로 유입되며, 하구에서 예블라흐까지 항해가 가능하다 따른 분류방법이다(수지상 하계망(dendritic pattern), 방사형 하계망 (radial pattern), 직각상 하계망(rectangular pattern), 등)(Howard, 1967). 마지막으로 하천 차수(stream ordering network)에 의한 분류 방법이다. 보통 하도구간 규모(reach scale)를 이용한 분류하는 방법은 수문 강좌 범위. 한국지리 전범위. 내용 및 특징. 수능지리 1등급 핫스팟 민정쌤의. 2022 한국지리 Road-map 개념완성. 수능지리의 핵심 개념을 쉽고 체계적으로 학습 가능. - 시험에 꼭 나오는 핵심 개념들을 꼼꼼하게 정리 가능. - 개념- 자료학습 - 문제풀이의 체계적인. 천안시의 하천은 등급에 따라 국가 하천, 지방 1급 하천 및 지방 2급 하천으로 구성되는데 총 182개소에 걸쳐 469.15㎞에 이른다. 이를 하천 등급별로 보면, 하천법에 의한 분류한 국가 하천은 1개소에 5.43㎞, 지방 2급 하천은 30개소에 209.02㎞, 소하천 정비법에 의거한.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Vol.14.No.1 2015. 4. pp.75~86 75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Google Earth를 활용한 강정고령보 건설 전후 곡류 구간별 하천 사주와 식생 변화 추적 주 승 민*․최 진 호** Evaluating Changing of Riverside Sandbar and Vegetation Cover b efore and afte
이들 단층선은 용인시의 하계망 발달 및 교통로 발달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지형] 지형은 한 단위 지역의 기복 정도와 그 특징을 말하는 것으로서, 단순하게는 지표면에 나타나는 요철(凹凸)을 말한다 서울기록원은 더 좋은 웹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이용자쿠키를 수집합니다. 읽어보기쿠키사용정책. 닫
하동군 연안습지 보고서 김 경 원 (습지보전연대회의 사무국장) 섬진강은 길이 212.3㎞ 유역면적 4,896.5㎢로 전북 진안군과 장수군의 경계인 팔공산에서 발원 하여 진안군 백운면과 마령면 등에 충적지를 만들고, 임실군 운암면에서 갈담저수지로 흘러든 다 『gis 실습』은 지리정보시스템이라는 도구를 이용해 공간분석 실제의 체계적 이해와 독자 스스로 지도제작 gis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이 책은 수치지도와 이미지를 이용한 지도 제작과 수정 및 디자인을 다루는 1부, 분석에서 사용될 공간연산자 사용법을 다루는 2부, 공간분석을 통한. 하천 지형 河川地形. 흐르는 물의 힘에 의해 만들어진 여러 형태의 지형. 하천의 물이 흐르면서 형성한 여러 지형을 두루 의미하는 말이다. 하천은 침식 작용과 퇴적 작용을 통하여 여러 지형을 형성하며, 자연 상태의 하천은 대부분 구불구불한 형태로 흐른다.
하계망이 조밀하고 토양이 비옥하여 중국의 주요 농업생산기지로 되고 있다.(3)중국의 문화 개요1-요리 중국요리는 이름을 들으면 재료나 맛을 알 수 있는 경우가 많다. 예를들면 탕수육은 달고 신맛이 나는 고기요리라는 뜻이다 하나의 유역 분지 내에서 본류 하천과 이에 합류하는 수많은 지류들로 이루어지는 하천의 망을 하계망 또는 수계망이라고 한다. 하계망의 패턴에는 크게 수지상 패턴, 직각상 패턴, 방사상 패턴, 격자상 패턴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예산군 삽교천의 하계망] 삽교천의 하계망은 삽교천을 본류로 하고 있고, 제1지류로는 신경천, 덕산천, 성리천, 효교천, 하포천, 대천천, 지곡천, 무한천이 있다. 이 중 무한천은 제1지류 중 가장 많은 2지류~4지류 이상의 지류를 가지고 있는 국가하천이다 세종특별자치시 지역 내에서의 금강 하계망(河系網)[본류와 여러 지류가 한 유역 분지에서 함께 이루는 하천의 망]은 제1 지류로 미호천, 백천, 내삼천, 삼성천, 제천, 용수천, 대교천, 원봉천, 도남천, 외천천 등이 있다 석기법, 하계망 분석기법을 소개하고, 공간의 추정과 예측에 활용되는 공간통계분석기법을 간략하게 설명하였다. 대부분의 공간분석은 다양한 공간현상으로부터 문제가 제기되어 공간법칙을 일반화 하천의 상류에서 시작된 물줄기는 하류로 이동하면서 지류의 합류로 거대한 본류를 형성한다. 이러한 여러 지류와 본류가 서로 연결된 하천의 얼개를 *하계망이라고 한다. 하계망을 통해 물이 모여드는 전체 범위를 유역이라 하는데, 하계망은 유역의 지질 구조, 식생, 기후 등에 따라 다양하게.
『한국지리지』-강원편(국토지리정보원, 2006) 이민부·이광률·김남신, 「추가령 열곡 연천 고호소층의 퇴적물 기원지 분석」 (『대한지리학회지』42-1, 대한지리학회, 2007) 이민부·이광률·김남신, 「추가령 열곡의 철원-평강 용암대지 형성에 따른 하계망 혼란과 재편성」 (『대한지리학회지』39-6. 2. 건조지역에서 발견되는 잘 짜여진 하계망 (Drainage system) 잘 짜여진 하계망은 비가 오는 지역에서 보여주는 지형학적 특징이다. 그러나 건조지역에서 이러한 하계망이 잔류지형으로 잘 발견된다 그림 10 바트나이외쿠틀 북쪽의 망류 하계망(b)의 모습. 이 망류 하천은 화산분화에 의해 생성된 다량의 화산분출물 위로 융빙수가 흘러 형성된. 3.2 지역 규모의 형성 작용-하계망 3.2.1 하계망 진화 3.2.2 하계망 구성 3.3 지역적인 규모 - 진화론 3.3.1 과거 경관의 증거 3.4 사례 - 유럽의 지역 규모의 지형학 Chapter 04 국지적 규모의 지형학 - 형성 과정 체계와 지형 4.1 풍화 체계 4.1.1 기계적 풍화 4.1.2 화학적 풍
백두대간에 해당하는 산줄기와 하계망(河系網)이 조밀하게 표현되어 있다. 제주도는'Fonma(풍마)'와'Quelpart(켈파르트)'의 두 개의 섬으로 그려져 있다.동해는'Gulf of Corea(한국만)', 대한해협은'Straits of Corea'로 표기되어 있다. Asia-general. 또 좌안 지역 하계망 특징, 읍성·향교와 신천·대구천 위치 관계, 조선시대 기후 정보와 자연제방 지형 특징 등을 분석해 홍수 때 읍성과 향교를 위협한 주 하천은 본류가 아니라 분류 하천인 대구천이라는 것을 확인했다
기존 하곡이 용암에 묻히면서 하계망(河系網) 혼란과 분수계(分水界)에 변화가 일어났다. 중심분출이 있었던 두 곳은 북한 안변 남대천 그리고 임진, 한탄, 북한강 분수계의 중심지역이 됐다 수지상 하계망 패턴을 보이며, 북서쪽 지역의 지류 와 남서쪽 지역의 지류가 Li 광산의 남서쪽 부근 (27W-1)에서 합류하여 동쪽으로 흘러간다(그림 2). 연구 지역 지형도에 표시된 하천들은 주요 지류와 본류를 제외하고는 건천인 경우가 많으며, 물이
카르스트 지역에서는 하계망(河系網)의 밀도가 낮은 것이 특징이다. 한국은 위도에 비하여 연교차가 크며 여름은 무덥고 겨울은 혹한이며 길다. 의 영향을 많이 받아 곳에 따라서는 특이한 탁월풍이 나타나기도 한다. (2) 중 - 선구조선과 하계망 패턴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미원, 속리산 일대를 중심으로 -, 한국지형학회, 2007.03.01 - 추가령 열곡 연천 고호소층의 퇴적물 기원지 분석, 대한지리학회, 2007.03.0 하지만, 그것들은 수계(river system - 본류, 지류, 파류 등을 포괄하는 한 하천의 전체 수류 계통)와 해저 협곡의 특징을 보이는 긴, 수지상 하계망(dendritic drainage patten - 하천이 본류와 지류, 그리고 지류의 지류로 이루어져 있을 때 각 지류의 사이 각이 예각을 이루고 나뭇가지 모양을 보이는 하계망)을. 대한지리학 1차 산맥과 2차 산맥. 우리나라의 산맥 중에서 태백·소백·마천령·낭림·함경산맥은 다른 산맥보다 해발 고도가 높고 연속성이 뚜렷한 산세를 지녔는데, 이들 산맥은 주로 신생대 제3기부터 동해 지각이 확장되면서 생긴 경동성 요곡 운동으로 형성된 산맥으로 1.
매일매일단어암기 무작정 영어를 읽고 외우는것 보다 이렇게 쓰면 더 기억에 각인이 되는거 같다 pye ( 파이(pie) ) pie-dog ( pye dog ) Usefulness of Blood Cultures in Acute Pyelonephritis 급성 신우신염 환. 우리나라는 반도(半島)의 모습으로 그려져 있고 한강의 하계망(河系網)이크게그려져있다. 이전시기지도에서보기힘든부산(Pousan)의지명도보인다.백두산이 장백산(Chanpe)으로 표기된 것은 중국지도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 대동여지도 ≫ 는 ≪ 청구도 ≫ 에 비하면 산세와 하계망 (河系網) 이 훨씬 더 자세하고 사용하기에 편리하도록 되어 있다. 전국을 한 장의 지도로 만들어 쉽게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는 다시 약 90 만 분의 1 소축척전도인 ≪ 대동여지전도 ≫ 를 목판본으로 간행하였다 호찌민시는 도시 기본계획에 따라 하계망*을 2030년까지 650sq.m에서 2,095sq.m로 확대하기로 하여, 운하 준설 작업은 계속해서 호찌민시의 최우선 과제가 될 것으로 예상됨 * 하계망 : 하나의 유역분지에서 본류와 수많은 지류가 함께 구성하는 하천의 지형, 기온, 강수량, 오염물질 등과 같이 지표 상에 연속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현상들을 대상으로 수행하는 표면분석기법으로 수치표고모델을 이용한 지형분석기법, 하계망 분석기법을 소개하고, 공간의 추정과 예측에 활용되는 공간통계분석기법을 간략하게 설명하였다
저자 : 배정아 ( Jeonga Bae ) , 이찬주 ( Chanjoo Lee ) , 김진관 ( Jin Kwan Kim ) 발행기관 : 한국지형학회 간행물 : 한국지형학회지 28권 2호 발행 연도 : 2021 페이지 : pp. 1-13 (13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키워드 보기. river maintenance flow dam. 추가령 열곡의 철원-평강 용암대지 형성에 따른 하계망 혼란과 재편성; keris:publishedThesis: 홍천강 중·하류의 하안단구 지형 발달; 경기·강원 지역 감입곡류 하천의 곡류절단면 분포 특성; 추가령 열곡의 철원-평강 용암대지 형성에 따른 하계망 혼란과 재편 가래나무의 지리학 이민부(전 대한지리학회장,한국교원대학교 지리교육과 교수)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지리부도에 보면 반드시 추가령 구조곡이 나온다. 한반도의 지형 및 지질적 특징을 설명하는 중요한 연속적으로 패여서 곡이된 것으로 남북간의 지형적 특성을 달리하는 경계적인 특징이.
우리역사넷. 오상학. 조선 전기에는 새로운 왕조의 개창과 국토의 확장으로 행정적·군사적으로 최신의 지도 제작이 요구되었다. 특히, 조선 초기에는 압록강 상류에 사군 (四郡)을 설치하고, 두만강 하류에 육진 (六鎭)을 개척함에 따라 이 지역에 대한 파악이. 설악산국립공원(점봉산) 자연자원조사 국립공원연구원 3 1. 과업 개요 점봉산은 설악산과 연결된 높은 고도를 유지한 산지지형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나라 최대의 신갈나무 군락과 우리나라 최대의 멸종위기야생식물 ii급인 한게령 낙동강이 신음하고 있다.8월 1일 찾은 대구 달성군 논공읍 위천리 소재 고령교. 대구와 거창을 잇는 고령교 밑을 흐르는 낙동강은 한눈에도 수량이 적어보였다. 열흘 전 이곳을 강타한 '물폭탄'과 '도깨비 폭우'의 흔적은 어디에도 없었다 [청주의 하천과 하계망] 청주시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무심천(無心川)은 선도산에서 발원하여 곳곳에 여러 가지 지형을 형성시키면서 흐르다가 강서에서 미호천(美湖川)과 합류하며, 충청남도 연기군의 동면에서 금강으로 흘러든다 한반도(韓半島, 문화어: 조선반도(朝鮮半島), 영어: Korean peninsula)는 정치지리학적으로 동아시아에 위치해 있으며, 지정학적으로 유라시아 대륙의 동부에 있는 반도이다. 삼면이 바다와 맞닿아 있다. 동쪽 바다는 동해, 서쪽 바다는 황해, 남쪽 바다는 남해이다
Abstract. The regional division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ainage patterns is important to understand its physical environment comprehensively, because the drainage network 즉, 인천지역의 지형, 지질, 토양, 수문, 하계망 등의 자연경관을 대상으로 명칭, 기호, 등급, 위치, 규모, 높이, 넓이, 특징, 기타, 사진 및 그림 등의 자연경관정보에 대한 관리 및 서비스시스템의 구축방안에 대하여 연구한다 [대구=일요신문] 최창현 김성영 기자 = 대구시는 오는 20일 오전 10시 시청 별관에서 '신천개발 자문단 및 협의회 회의'를 열고 '신천과 소하천 유로 변천 조사 용역'결과에 대해 토론회를 가진다. '신천과 소하천 유로 변천 조사 용역' 은 대구시 신천프로젝트의 첫 사업인 &ls..